business
RCM
RCM
RCM은 예방정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이며 기존의 정비 프로그램을 최적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이다. 이 RCM은 적절한 정비업무 및 주기 적용을 통한 설비의 계통기능을 유지하는데 초점을 맞추며 이들 정비업무 및 주기 선정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정비 프로그램 수립에 대한 잘 서류화된 근간을 만든다. 이 RCM은 시스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계통의 기능적인 중요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방법을 제공하며 기기 수준에서 계통을 분석하여 시스템 기능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한 각 기기의 중요성을 결정한다. 이것을 정하는 것은 설비 안전성과 시스템 기능 유지에 대한 기기의 기여 등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게 된다.

화력발전 분야
화력발전소 운영에 있어서의 최대 목표는 공정의 중단 없이 효율의 극대화를 달성하는 것이다. 공정의 중단을 막기 위해서는 적절한 고장예측을 통한 효율적인 유지보수 정책을 수립하여 운영하는 RCM과 운전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각 설비 및 설비별 Factor들의 패턴을 분석하여 이상 상황을 조기에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며, 효율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각 설비와 각 설비별 factor들의 연관성을 바탕으로한 최적조건 탐색기능이 필요하다.
당사에서의 분석 방법은 과거 운전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 조건에서의 운전 패턴 modeling, 이상발생 패턴 modeling, Overhaul 후 정상적인 운영시까지의 패턴 modeling 을 수행하여 현재 운영데이터가 modeling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설비의 상태를 판단하고 예측하는 기본 Framework를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수력발전 분야
우리나라의 수력발전소는 전력생산의 목적보다는 홍수조절 등 물자원 관리가 더 중요한 역할이다.
따라서 지속적 전력생산을 위한 신뢰성 분석이나 가용성 향상에 대한 관심이 원자력 발전 및 화력발전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약할 뿐만 아니라 설비의 복잡도도 낮고 가동시간도 작아 고장의 빈도도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현재 RCM의 방식은 원자력이나 화력발전소의 방법을 그대로 활용할 수 없다. 당사의 수력설비 RCM은 EPRI TR-111488 에서 추천하는 RCM 적용기법과 한국 수력 발전소의 특성을 살려 아래와 같은 구성요소로 시스템을 구축한다.
현재까지 수력발전분야의 평가는 체계적인 정량적 상태평가 기준 및 절차가 미흡하여 향후 대내외 노후수력 현대화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발전설비 예방정비 및 노후수력 현대화 사업의 소요시간 및 인적자원을 절감하고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 필요하였다.
노후수력 현대화는 현재 현대화 절차서에 의거 평가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정량화 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사업소별 수력설비에 대한 수명연장 및 현대화 Process를 정의하여 발전설비 예방정비와 노후수력 현대화사업의 소요시간/인적자원을 절감할 수 있는 능동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시스템의 기본적 Framework를 개발하였다.

배전설비 분야
배전설비의 최적교체주기 산정을 위한 RCM시스템은 배전설비의 고장이력데이터 및 설비의 기본 속성들을 활용하여
각 설비별 최적교체주기 산정 및 각 설비별 제조사 평가와 전체 제조사의 설비에 대한 신뢰성 평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